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Rehmannia glutinosa Libosch. for. hueichingensis (Chao et Schih) Hsiao |
|
|
|
추천국명 |
회경지황 |
|
한약재명 |
숙지황(熟地黃),생지황(生地黃),건지황(乾地黃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; |
|
CCID 등재명 |
REHMANNIA CHINENSIS(); REHMANNIA CHINENSIS ROOT EXTRACT(지황추출물); REHMANNIA GLUTINOSA(); REHMANNIA GLUTINOSA ROOT EXTRACT(지황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Scrophulariaceae(현삼과); |
|
속(GENUS)명 |
Rehmannia(); |
|
종(SPECIES)명 |
glutinosa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빨강(Red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술에 넣고 여러 번 쪄서 말린 것(숙지황), 날것(생지황), 날로 말린 것(건지황)을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보익약(補益藥); |
|
성 미 |
숙지황:감(甘),미온(微溫), 생지황:감고(甘苦),한(寒), 건지황:감(甘),한(寒) |
|
해 설 |
숙지황은 ①혈허해서 안면이 황색이거나 창백하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뛰고 잠을 못 이루는 증상에 당귀와 같이 보혈제로 사용한다. ②부인의 혈허하거나 어혈로 생리가 고르지 못한 데 쓰며, ③간신음허로 인해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연약하며, 어지럽고 눈이 침침하며 이명과 조열이 있으면서 식은땀을 흘리고 유정이 있는 증상을 호소할 때에 쓴다. ④자음시키는 효능이 강하여 소갈에 단방이나 복방으로 효력을 얻는다. ⑤정수를 보해 주므로 소아의 발육부진, 치매와 성인의 조루증, 정신황홀,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 것이 헛보이거나, 일찍 머리가 세고, 발기부전으로 임신을 하지 못하는 증상에 쓴다. ⑥신허로 인한 해수, 천식에도 자주 이용된다. 생지황은 ①음허해서 일어나는 발열 증상을 제거하고, ②소갈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며, ③토혈, 코피, 자궁 출혈을 그치게 하고, ④부인의 생리불순, 임신 중 태아 불안 상태를 치료한다. ⑤변비에 효력이 있고, ⑥골절상에 짓찧어서 붙이면 염증과 발열, 부종이 제거된다. 건지황은 ①열병 후에 혀가 붉고 번조와 갈증이 심할 때에 쓰고, ②뼛골이 쑤시면서 미열이 나는 골증, ③장기 내부에 열이 있어서 일어나는 소갈증에 효력이 있으며, ④토혈, 코피를 그치게 하고, ⑤열로 인한 피부발진을 개선시킨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b-sitosterol, 미량의 campesterol, rehmanin, alkaloid, 지방산 등이 확인되었다. |
|
약 리 |
①혈당을 내리고, ②순환기 계통에 작용하여 강심 및 이뇨 작용을 보인다. ③간 기능 보호 작용, ④항균 작용이 나타난다. |
|
임상보고 |
숙지황은 ①풍습성,유풍습성 관절염에 반응을 보였고, ②습진, 담마진, 신경성피부염에 유효하였으며, ③전염성간염에도 유효하였다. ④퇴행성척추염, ⑤안염에도 임상 효능이 입증되었다. 생지황은 ①풍습성,유풍습성관절염에 이 약물 120g을 1시간 동안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, ②습진, 담마진, 신경성피부염에도 복용하여 효력을 얻었으며, ③감초와 배합한 약침 제제는 전염성간염에 일정한 효능이 있었다. |
|
분석된 함유성분 |
Uridine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