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Aster tataricus L.f. |
|
|
|
추천국명 |
개미취(Gae-mi-chwi) |
|
한약재명 |
자원(紫원),자완(紫완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Aster tataricus L.f.; Aster trinervius var. longifolia Franch. & Sav.; Aster nakaii Lev. & Vaniot; Aster tataricus var. minor Makino; Aster tataricus var. hortensis Nakai; Aster tataricus var. vernalis Nakai; Aster tataricus var. robustus Nakai; Aster tataricus var. nakaii Kitam.; Aster fauriei Lev. & Vaniot; Aster tataricus var. fauriei (Lev. & Vaniot) Kitam.; 자원(Ja-won); |
|
CCID 등재명 |
ASTER TATARICUS(); ASTER TATARICUS ROOT/RHIZOME EXTRACT(자완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Compositae(국화과); |
|
속(GENUS)명 |
Aster(); |
|
종(SPECIES)명 |
tataricus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자주(Violet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약으로 쓴다. 자완이라고도 한다. |
|
약제분류 |
화담지해평천약(化痰止咳平喘藥); |
|
성 미 |
고감(苦甘),미온(微溫) |
|
해 설 |
①폐한, 폐열, 폐허로 인한 해수, 가래, 천식에 유효하다. ②외감성해수와 가래가 많고 황색이며 끈끈한 증상을 제거한다. ③익기, 평천하므로 오래된 해수에 쓰이고, ④가래에 피가 섞이는 증상을 치료한다. ⑤인후가 건조하고 아픈 것을 다스리고, ⑥급만성 호흡기 감염증에 활용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saponin, epifriedelin, friedelin, shionone, aster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①진해, 거담 작용이 현저하다. ②항균 작용이 있어서 대장균, 이질균, 변형간균, 녹농균 및 콜레라균에 일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. ③복수암에도 일정한 억제 작용을 보인다. |
|
임상보고 |
①백일해, ②만성기관지염, ③폐렴에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