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Aristolochia contorta Bunge |
|
|
|
추천국명 |
쥐방울덩굴(Jwi-bang-ul-deong-gul) |
|
한약재명 |
마두령(馬兜鈴),청목향(靑木香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Aristolochia contorta Bunge; Aristolochia nipponica Makino; Aristolochia nipponica Nakai; 까치오줌요강(Kka-chi-o-jum-nyo-gang); 마도령(Ma-do-ryeong); 방울풀(Bang-ul-pul); 쥐방울(Jwi-bang-ul); 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과(FAMILY)명 |
Aristolochiaceae(쥐방울덩굴과); |
|
속(GENUS)명 |
Aristolochia(); |
|
종(SPECIES)명 |
contorta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 / 열매(FRUIT);
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열매(마두령), 뿌리(청목향)을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화담지해평천약(化痰止咳平喘藥); |
|
성 미 |
마두령:고미신(苦微辛),한(寒), 청목향:신고(辛苦),한(寒) |
|
해 설 |
마두령은 ①폐열로 인한 해수, 가래, 천식 모두에 응용되고, ②폐허로 해수가 오래되고 가래가 적으며 인후가 건조하고 간혹 가래에 피가 섞이고 혀가 붉고 약간의 백태가 끼는 증상에도 활용된다. ③대장의 열을 내리므로 치질로 붓고 아픈 증상을 다스리며, ④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이 있어서 원발성고혈압에 비교적 좋은 반응을 보인다. 청목향은 ①흉복부가 팽만하고 은은하게 통증을 느낄 때에 행기작용으로 치유하며, 장염과 이질에도 유효하다. ②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, ③종기에도 활용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마두령에는 aristolochic acid와 일종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고, 청목향에는 aristolone, aristolochic acid, allantoin, debi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마두령의 ①달인 물은 토끼에게 가벼운 거담 작용을 보이고, ②폐렴쌍구균, 인플루엔자균 및 피부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보인다. ③또한 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을 나타내며, ④항암 작용, ⑤항감염 작용이 있고, ⑥탐식 세포의 활성을 증강시킨다. 청목향은 ①여러 동물에서 일정한 혈압 강하 작용이 인정되었으며, ②위장관에 작용하여 구토, 메스꺼움, 어지럼증 등의 부작용을 보인다. ③진정 작용이 있으며, ④이질균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낸다. |
|
임상보고 |
①만성기관지염에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고, ②폐렴, 기관지염, ③위장염, 이질, ④상기도감염증 등에 유효율이 높았다. ⑤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을 보였으며,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. |
|
분석된 함유성분 |
Magnoflorine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