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Althaea rosea Cav. |
|
|
|
추천국명 |
접시꽃(Jeop-si-kkot) |
|
한약재명 |
촉규화(蜀葵花),촉규근(蜀葵根),촉규자(蜀葵子),백규화(白葵花),적규화(赤葵花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Althaea rosea Cav.; Alcea rosea L.; 촉규화(Chok-gyu-hwa); |
|
CCID 등재명 |
ALTHAEA ROSEA(); ALTHAEA ROSEA FLOWER EXTRACT(접시꽃추출물); ALTHAEA ROSEA FLOWER POWDER(); |
|
과(FAMILY)명 |
Malvaceae(아욱과); |
|
속(GENUS)명 |
Althaea(); |
|
종(SPECIES)명 |
rosea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 / 꽃(FLOWER); / 종자(SEED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/ 빨강(Red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아욱과의 두해살이풀로 꽃(촉규화), 뿌리(촉규근), 종자(촉규자)를 약으로 쓴다. 백색 꽃을 백규화(白葵花), 적색 꽃을 적규화(赤葵花)라고 한다. |
|
약제분류 |
지혈약(止血藥); |
|
성 미 |
촉규화:고(苦),평(平), 촉규근:감(甘),한(寒), 촉규자:감(甘),한(寒) |
|
해 설 |
촉규화는 ①부인의 백대하, 하복부 냉증에 1회 8g을 가루로 만들어 약한 술에 타서 마신다. ②대소변을 잘 보게 하고, ③토혈, 자궁 출혈에도 지혈 반응을 보인다. ④뜨거운 물이나 불에 데었을 때 및 코 끝이 빨개지는데 기름에 개어서 바른다. 촉규근은 ①임질로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 쓰고, ②소변 출혈, 토혈, 자궁 출혈에 지혈 작용을 보이며, ③충수염에 배농,소염 효과를 나타낸다. 촉규자는 ①소변의 배설을 촉진시키고, ②변비에 유효하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촉규화에는 dibenzoyl carbinol, dihydrokaemferol, kaemferol, herbacin 등이 함유되어 있고, 촉규근에는 pentosans, methylpentosans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촉규근은 윤활 작용이 있어서 점막염에 자극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