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& Zucc. |
|
|
|
추천국명 |
지치(Ji-chi) |
|
한약재명 |
자초(紫草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& Zucc.; Lithospermum officinale var. japonicum Miq.; Lithospermum officinale var. erythrorhizon (Siebold & Zucc.) Maxim.; Lithospermum officinale subsp. erythrorhizon (Siebold & Zucc.) Hand.-Mazz.; 자초(Ja-cho); |
|
CCID 등재명 |
LITHOSPERMUM ERYTHRORHIZON();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();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(자근추출물,시코닌); LITHOSPERMUM OFFICINALE(); LITHOSPERMUM OFFICINALE EXTRACT(지치추출물); LITHOSPERMUM OFFICINALE ROOT EXTRACT(지치뿌리추출물); LITHOSPERMUM ROOT EXTRACT SERUM ALBUMIN SUCCINATE(); 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과(FAMILY)명 |
Boraginaceae(지치과); |
|
속(GENUS)명 |
Lithospermum(); |
|
종(SPECIES)명 |
erythrorhizon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지혈약(止血藥); |
|
성 미 |
감(甘),한(寒) |
|
해 설 |
①혈열로 인한 반진이 암자색을 보일 때에 유효하며, 토혈, 코피, 소변 출혈에도 빠른 효과를 보인다. ②홍역의 예방과 치료에 발병률을 감소시키며, ③종기 초기와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, 만성궤양, 자궁경부미란, 습진, 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 등에 내복하거나 외용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acetylshikonin, shikonin, alkannan 등이 확인되었다. |
|
약 리 |
①황색포도상구균, 대장균, 인플루엔자균, 이질균, 피부진균에 억제 작용이 있고, 면역 반응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. ②항염증 작용과 가벼운 해열 작용을 보이며, ③자궁의 생리 주기 및 발육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므로 피임 작용을 나타낸다. ④소량 사용하면 강심 작용이 있고, 다량 사용하면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. |
|
임상보고 |
①홍역 예방에 유효하며, ②피임 효과를 보였다. ③급성간염 및 만성간염에 유효율을 높였고, 사마귀 치료에도 활용되었다. ④혈관성자반병을 치료한 경우가 있으며, ⑤정맥염에도 활용되었다. ⑥반진에 감초와 같이 달여서 복용하였고, ⑦화상, ⑧자궁경부미란, ⑨각막염 등에도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