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Rheum palmatum Linne var. palmatum |
|
|
|
추천국명 |
장엽대황 |
|
한약재명 |
대황(大黃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; |
|
CCID 등재명 |
RHEUM PALMATUM(); RHEUM PALMATUM ROOT/STALK EXTRACT(금문대황뿌리/줄기추출물); RHEUM PALMATUM ROOT(); RHEUM PALMATUM ROOT EXTRACT(장엽대황뿌리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Polygonaceae(마디풀과); |
|
속(GENUS)명 |
Rheum();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사하약(瀉下藥); |
|
성 미 |
고(苦),한(寒) |
|
해 설 |
①사하작용이 있어서 장위를 세척하고 대사를 촉진시키므로 열성 변비와 복부창만에 손으로 누르면 단단한 것이 촉지되는 증상에 유효하다. ②이질 초기에 설사가 빈번하고 후중이 있을 때 술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. ③화를 내리는 작용이 있어서 화사(火邪)가 상염(上炎)하여 나타난 두통, 눈의 충혈, 인후통, 잇몸이 붓고 아프면서 입 안과 혀가 헐어 발진이 생기고 변비가 있는 증상에 쓴다. ④혈열로 인한 코피, 토혈, 각혈에 활용되며, ⑤열독으로 인하여 종기와 등창이 생기고 변비를 수반하는 데 유효하며, 맹장염에도 신속한 효과를 나타낸다. ⑥혈액 순환을 개선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므로 부인의 월경폐색, 오한발열, 산후에 어혈이 제거되지 않았을 때 및 징가, 타박상 등에 활용된다. ⑦수분을 제거하고, 이뇨 작용도 함께 나타나므로 장관에 수분이 정체되어 나타난 부종 및 복부창만에 이용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chrysophanol, chrysophanic acid, emodin, rhein, aloe-emodin 등이 확인되었다. |
|
약 리 |
①유효 성분들은 대장에서 결장의 긴장력을 증가시키고 연동 작용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소장에서 영양 물질의 흡수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한다. ②사하 작용, ③해열,체온 강하 작용, ④담즙 분비 촉진 작용이 있고, ⑤모세 혈관의 투과성을 내리므로 혈액 응고 시간을 단축시킨다. ⑥광범위한 항균 작용이 있어서 포도상구균, 연쇗상구균, 임균, 디프테리아균, 장티푸스균, 이질균 등의 발육을 억제한다. 그 밖에도 이뇨 작용과 간 기능 보호 작용이 나타난다. |
|
임상보고 |
①만성 신 기능 쇠약에 이 약물 20~30g을 모려(牡蠣)와 같이 복용하여 유효성을 높였고, ②위장 출혈에 1회 3g을 1일 3회 복용하였으며, ③소화성궤양에도 효력을 보였다. ④담석증, ⑤급성담낭염, ⑥고지혈증, ⑦장경색, ⑧출혈성장염, ⑨급성뇌혈관병, ⑩급성황달형 간염, ⑪동상, ⑫급성화농성편도선염에도 치유 효과가 나타났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