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Smilax china L. |
|
|
|
추천국명 |
청미래덩굴(Cheong-mi-rae-deong-gul) |
|
한약재명 |
발계(발계),발계엽(발계葉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Smilax china L.; Coprosmanthus japonicus Kunth; Smilax japonica (Kunth) A.Gray; Smilax pteropus Miq.; Smilax taquetii Lev.; Smilax taiheiensis Hayata; Smilax china var. microphylla Nakai; Smilax china var. taiheiensis (Hayata) T.Koyama; 망개나무(Mang-gae-na-mu); 명감(Myeong-gam); 명감나무(Myeong-gam-na-mu); 좀청미래(Jom-cheong-mi-rae); 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과(FAMILY)명 |
Liliaceae(백합과); |
|
속(GENUS)명 |
Smilax(); |
|
종(SPECIES)명 |
china Species |
|
사용부위 |
잎(LEAF); / 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백합과의 덩굴성 갈잎떨기나무로 뿌리줄기를 약으로 쓴다. 잎을 발계엽이라 한다. |
|
약제분류 |
거풍습약(祛風濕藥); |
|
성 미 |
감(甘),온(溫) |
|
해 설 |
발계는 ①풍습을 제거하므로 관절염, 근육마비 및 허리와 등이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, ②이뇨 작용이 있어서 임질을 치료하고, 전신의 부종을 가라앉힌다. ③악창을 치료하고, 독충에 물린 것을 풀어 준다. 발계엽은 ①종기, 창진 등에 쓰고, ②탕화창(湯火瘡)에도 가루를 내어 바른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diosgenin과 여러 종류의 saponin, alkaloid, amono acid, 유기산, 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①이뇨, 해독 작용이 현저하고, ②황색포도상구균, 녹농균, 대장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탁월하다. |
|
임상보고 |
발계는 ①외과의 급성감염증으로 봉와직염, 림프절염, 유선염 등에 현저한 소염 작용을 보이고, ②풍습성관절염에도 약침 제제로 효력을 얻었다. ③옴이나 버짐에도 유효하였고, ④위암, 식도암, 직장암, 유선암, 자궁경부암, 비암, 인후암 등에도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. 발계엽은 신선한 것을 채취하여 말린 다음 가루로 만들어 탕화창에 연고제로 바른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