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Prunus mume Siebold & Zucc. for. mume |
|
|
|
추천국명 |
매실나무(Mae-sil-na-mu) |
|
한약재명 |
오매(烏梅),매화(梅花),매실(梅實),매엽(梅葉),매지(梅枝),백매(白梅),백매육(白梅肉),빙매(氷梅),상매(霜梅),오매육(烏梅肉),오매핵(烏梅核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Prunus mume Siebold & Zucc. for. mume; Armeniaca mume Siebold; Prunus mume var. typica Maxim.; Prunus myrobalana var. fl.-roseis G.Nicholson; Prunus mume var. rosea Ingram; 매화나무(Mae-hwa-na-mu); |
|
CCID 등재명 |
PRUNUS MUME(); PRUNUS MUME FRUIT(); PRUNUS MUME FRUIT EXTRACT(매실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Rosaceae(장미과); |
|
속(GENUS)명 |
Prunus(); |
|
종(SPECIES)명 |
mume Forma mume |
|
사용부위 |
꽃(FLOWER); / 열매(FRUIT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로 덜 익은 열매를 가공한 것(오매), 꽃(매화)를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수삽약(收澁藥); |
|
성 미 |
오매:산삽(酸澁),온(溫), 매화:미산삽(微酸澁),평(平) |
|
해 설 |
오매의 ①신맛은 폐의 기운이 흐트러진 것을 수렴시켜 오래 된 해수에 지해 작용을 나타낸다. ②오랜 이질, 설사에 지사 작용이 있으며, ③진액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갈증에 생진지갈의 효능을 보인다. ④회충으로 인한 복통에 유효하다. 매화는 ①신경과민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잘 안 되며, 목 안에 이물질이 걸려 있는 것 같은 증상을 치료하고, ②나력창독에도 효력을 보인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오매에는 citric acid, malic acid, succunic acid, tarta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, 매화에는 benzoic acid, benzaldehyde, isoeugenol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①신체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며, ②항균 작용이 나타나고, 체외 실험으로 자궁경부암의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. |
|
임상보고 |
①내치질에 약침 제제로 활용되었으며, ②바이러스성간염에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. ③소아의 복통, 설사에 높은 유효율을 보였다. |
|
분석된 함유성분 |
5-Methyl-2-furaldehyde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