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Potentilla chinensis Ser. var. chinensis |
|
|
|
추천국명 |
딱지꽃(Ttak-ji-kkot) |
|
한약재명 |
위릉채(萎陵菜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Potentilla chinensis Ser. var. chinensis; Potentilla exaltata Bunge; Potentilla chinensis var. latifida Koidz.; Potentilla pseudo-chinensis Nakai; Potentilla chinensis var. littoralis Nakai; Potentilla chinensis var. pseudo-chinensis (Nakai) Nakai; Potentilla chinensis subsp. trigonodonta Hand.-Mazz.; Potentilla chinensis var. xerogens Hand.-Mazz.; 갯딱지(Gaet-ttak-ji); 당딱지꽃(Dang-ttak-ji-kkot); 딱지(Ttak-ji); 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과(FAMILY)명 |
Rosaceae(장미과); |
|
속(GENUS)명 |
Potentilla(); |
|
종(SPECIES)명 |
chinensis Variety chinensis |
|
사용부위 |
지상부(BUD); / 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노랑(Yellow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지상부 또는 뿌리를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거풍습약(祛風濕藥); |
|
성 미 |
고(苦),한(寒) |
|
해 설 |
①대장에 있는 열을 내리므로 세균성이질과 아메바성이질에 유효하다. ②양혈작용이 있어서 대변 출혈, 자궁 출혈, 소변 출혈, 코피, 토혈 등의 증상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ascorbic acid 및 단백질, 지방, 조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아메바 원충에 대한 작용이 백두옹보다 약하다. |
|
임상보고 |
①출혈성 질환에 생것 15~8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였다. ②급성세균성이질에도 1일 2회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거나 약침 제제로 치료하였으며, ③아메바성이질에도 1일 20~30g을 3회로 나누어서 복용하였다. ④화적 작용이 있어서 담적과 식도암에 치료 반응을 보였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