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Inula britannica var. japonica (Thunb.) Franch. & Sav. |
|
|
|
추천국명 |
금불초(Geum-bul-cho) |
|
한약재명 |
선복화(旋覆花),금불초(金불草),선복화근(旋覆花根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Inula britannica var. japonica (Thunb.) Franch. & Sav.; Inula chinensis Rupr. ex Maxim.; Inula britannica var. chinensis Regel; Inula britannica subsp. japonica Kitam.; Inula britannica var. japonica Kom.; Inula japonica Thunb.; 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과(FAMILY)명 |
Compositae(국화과); |
|
속(GENUS)명 |
Inula(); |
|
종(SPECIES)명 |
britannica Variety japonica |
|
사용부위 |
지상부(BUD); / 뿌리(ROOT); / 꽃(FLOWER);
|
|
꽃(FLOWER)색상 |
노랑(Yellow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(선복화), 지상부(금불초), 뿌리(선복화근)을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화담지해평천약(化痰止咳平喘藥); |
|
성 미 |
고신함(苦辛鹹),미온(微溫) |
|
해 설 |
선복화는 ①한담이 가슴에 쌓여서 해수, 천식 및 끈끈한 가래가 나오는 증상이 있을 때 쓰고, ②기를 내리는 힘이 있고, 구토를 가라앉히므로 위장신경기능문란증, 흉복부 창만, 소화불량, 딸꾹질 등에 널리 쓰인다. 금불초는 진해,거담 작용이 있고, 선복화근은 외상이나 타박상에 짓찧어 붙이거나 물을 넣고 달여서 내복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flavonoid 화합물과 당 및 여러 종류의 sitosterol, quercetrin, caffeic acid, inulicin 등이 알려졌다. |
|
약 리 |
①기관지 경련을 풀어 주고, ②가벼운 이뇨 작용이 있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