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Fallopia multiflora (Thunb. ex Murray) Haraldson var. multiflora |
|
|
|
추천국명 |
하수오(Ha-su-o) |
|
한약재명 |
하수오(何首烏),적하수오(赤何首烏),야교등(夜交藤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Fallopia multiflora (Thunb. ex Murray) Haraldson var. multiflora; Polygonum multiflorum Thunb. ex Murray; Helxine multiflorum (Thunb.) Raf. ex Murray; Pleuropterus multiflorus (Thunb.) Nakai ex Murray; Reynoutria multiflora (Thunb.) Moldenke ex Murray; Fagopyrum multiflorum (Thunb.) I.Grint. ex Murray; Bilderdykia multiflora (Thunb.) Roberty & Vautier ex Murray; |
|
과(FAMILY)명 |
Polygonaceae(마디풀과); |
|
속(GENUS)명 |
Fallopia(); |
|
종(SPECIES)명 |
multiflora Variety multiflora |
|
사용부위 |
줄기(STEM); / 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덩이뿌리를 약으로 쓴다. 적하수오라고도 하며, 줄기를 야교등이라 한다. |
|
약제분류 |
보익약(補益藥); |
|
성 미 |
하수오:고감(苦甘),미온(微溫), 야교등:감미고(甘微苦),평(平) |
|
해 설 |
하수오는 ①간신 기능 부족으로 정혈이 휴손되어 어지럽고 눈앞에서 꽃이나 별과 같은 것이 헛보일 때,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고 허리가 아프면서 힘이 없고 다리가 연약해지는 증상과 유정 등에 유효하다. ②생것은 학질 치료에 효험이 있으며, ③약성이 서늘해서 해독 작용이 있고, 종기를 치료한다. ④결핵성림프선염에도 신통력을 보이며, ⑤장관이 건조해서 일어나는 변비증에 통변 작용을 나타낸다. 야교등은 ①신경과민으로 인한 불면과 꿈이 많은 것을 치료하고, ②거풍 작용이 있어 사지관절의 마비동통을 치료한다. ③피부가려움증에도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하수오에는 anthraquinone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는데, 주성분은 chrysophanic acid, chrysophanol, emodin, rhein, anthronene, 전분이다. 야교등에는 anthraquinone의 종류로 emodin, chrysophanol, chrysophanic aicd가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①혈청 콜레스테롤치를 내리고, ②죽상동맥경화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. ③가벼운 정도로 관상 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키고, 일정한 심장 근육의 보호 작용을 나타낸다. ④생쥐에게 추위에 견디는 능력을 높여 주며, ⑤늙은 생쥐의 흉선 위축을 막아 주므로 면역 기능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. ⑥장관의 연동 작용을 촉진시키므로 변비에 유효하며, ⑦결핵균과 이질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낸다. |
|
임상보고 |
①고지혈증에 엑스를 0.25mg씩 1일 3회 2~12주간 복용하자 효력이 있었고, ②불면증에 약침으로 개선 효과를 보았다. ③정신분열증 환자에게도 현저한 반응을 나타냈다. ④백일해에도 감초를 배합해서 치유 반응을 얻었고, ⑤학질, ⑥피부사마귀에도 3~10주간 복용으로 호전 반응을 보였다. |
|
기타주의사항 |
설사를 할 때에는 복용을 삼간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