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Agrimonia pilosa Ledeb. |
|
|
|
추천국명 |
짚신나물(Jip-sin-na-mul) |
|
한약재명 |
용아초(龍芽草),선학초(仙鶴草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Agrimonia pilosa Ledeb.; Agrimonia dahurica (Link) Willd.; Agrimonia viscidula var. japonica Miq.; Agrimonia japonica (Miq.) Koidz.; Agrimonia pilosa for. typica Nakai; Agrimonia pilosa var. japonica (Miq.) Nakai; Agrimonia pilosa for. dahurica (Link) Nakai; Agrimonia pilosa for. bracteata Nakai; Agrimonia pilosa subsp. japonica (Miq.) H.Hara; 등골짚신나물(Deung-gol-jip-sin-na-mul); 북짚신나물(Buk-jip-sin-na-mul); 집신나물(Jip-sin-na-mul); 큰골짚신나물(Keun-gol-jip-sin-na-mul); |
|
등록된 이미지 |

|
|
과(FAMILY)명 |
Rosaceae(장미과); |
|
속(GENUS)명 |
Agrimonia(); |
|
종(SPECIES)명 |
pilosa Species |
|
사용부위 |
지상부(BUD);
|
|
꽃(FLOWER)색상 |
노랑(Yellow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지상부를 약으로 쓴다. 선학초라고도 한다. |
|
약제분류 |
지혈약(止血藥); |
|
성 미 |
고삽(苦澁),량(凉) |
|
해 설 |
①혈열로 인한 각혈, 토혈, 소변 출혈, 변혈, 자궁 출혈 등에 활용된다. ②수렴성 지혈제로 각종 출혈증에 널리 응용되는 동시에 강심 작용도 보인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agrimonine, agrimonolide, luteolin-7-b-glucoside, apigenin-7-b-glucoside, tannin, 유기산, gal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①지혈 작용이 있어서 혈액 응고 시간을 단축시킨다. ②심혈관 및 평활근 작용이 있어서 강심,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. ③항균 작용 및 항기생충 작용이 있어서 고초간균과 황색포도상구균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. ④항염증 반응도 인정되었으며, ⑤진통 작용이 있다. |
|
임상보고 |
①지혈 작용이 있어서 각종 출혈 증상에 널리 응용되며, 특히 내과 수술 후에 지혈 반응이 현저하였다. ②적충성음도염에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였으며, ③감염성식중독에도 이 약물 40g에 물을 넣고 달여서 1회에 복용하였다. ④고산병에는 미주 신경 억제를 풀어 주므로 심장 박동을 증가시켜 심장 근육 손상 회복에 개선 반응을 보였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