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Cynanchum wilfordii (Maxim.) Hemsl. |
|
|
|
추천국명 |
큰조롱(Keun-jo-rong) |
|
한약재명 |
백수오(白首烏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Cynanchum wilfordii (Maxim.) Hemsl.; Cynoctonum wilfordii Maxim.; Vincetoxicum wilfordi (Maxim.) Franch. & Sav.; Seutera wilfordii (Maxim.) Pobed.; 새박(Sae-bak); 새박풀(Sae-bak-pul); 은조롱(Eun-jo-rong); 하수오(Ha-su-o); |
|
과(FAMILY)명 |
Asclepiadaceae(박주가리과); |
|
속(GENUS)명 |
Cynanchum(); |
|
종(SPECIES)명 |
wilfordii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
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약으로 쓴다. 우리나라에서는 하수오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. |
|
약제분류 |
보익약(補益藥); |
|
성 미 |
고감삽(苦甘澁),미온(微溫) |
|
해 설 |
①자양성이 많은 보혈제이며, 장기간 복용하면 정기를 거두어들이고 흰머리가 검게 되며 성 신경을 자극한다. ②병후 허약과 사지관절무력동통으로 팔다리가 시리고 연약한 증상 및 피부궤양 등에 유효하다. ③생것은 장관 운동을 촉진시켜서 변비에 유효한데, 특히 노인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cynanchol, 강심 배당체 등이 확인되었다. |
|
임상보고 |
황정, 사엽삼, 자초와 같이 복용하면 모종의 허약성 환자에게 강장 효과를 나타내는데, 하수오보다 우수하다고 한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