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Cinnamomum camphora (L.) J.Presl |
|
|
|
추천국명 |
녹나무(Nong-na-mu) |
|
한약재명 |
장뇌(樟腦),장목(樟木),뇌자(腦子),소뇌(小腦),소뇌(昭腦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Cinnamomum camphora (L.) J.Presl; Laurus camphora L.; Persea camphora Spreng.; Cinnamomum camphora (L.) T.Nees & C.H.Eberm.; Camphora officinarum T.Nees; Cinnamomum camphora var. glaucescens (Braun) Meisn.; Cinnamomum camphora var. nominale Hayata ex Matsum. & Hayata; Cinnamomum taquetii H.Lev.; Cinnamomum simondii Lecomte; Cinnamomum nominale (Hayata) Hayata; Cinnamomum camphoroides Hayata; Cinnamomum camphora var. glaucescens Nakai; |
|
CCID 등재명 |
CINNAMOMUM CAMPHORA(); CINNAMOMUM CAMPHORA (CAMPHOR) BARK OIL(녹나무껍질오일); CINNAMOMUM CAMPHORA (CAMPHOR) LEAF EXTRACT(녹나무잎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Lauraceae(녹나무과); |
|
속(GENUS)명 |
Cinnamomum(); |
|
종(SPECIES)명 |
camphora Species |
|
사용부위 |
나무껍질(BARK); / 기름(OIL);
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녹나무과의 늘푸른큰키나무로 원줄기를 증류,냉각시킨 결정체(장뇌)와 원줄기(장목)을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개규약(開竅藥); |
|
성 미 |
장뇌:신(辛),열(熱), 장목:신(辛),온(溫) |
|
해 설 |
장뇌는 ①강한 방향성으로 통규 작용을 하므로 갑작스런 쇼크, 열병으로 의식이 혼미한 증상에 효력이 뛰어나다. ②외용으로는 종기, 피부궤양, 악창, 옴, 버짐, 가려움증 등에 활용되며, ③토사, 복통에도 효력이 높다. ④또한 강심 작용이 있어서 심장 쇠약 환자에게 탁월한 반응을 보이고, ⑤치통에 진통 효과가 있으며, ⑥탕화창에도 쓰인다. 장목은 ①풍습을 제거하므로 관절염, 통풍, 타박상 등에 효력을 나타내며, ②여름에 토사, 곽란, 복통에 쓰인다. ③욕탕제로 사용하여 옴이나 버짐 등의 피부 질환을 치료한다. ④또한 심장 쇠약과 관상동맥경화증, 협심증 등에도 유효하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camphor와 방향성 정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, cineole, a-pinene, l-camphene, d-limonene 등이 알려졌다. |
|
약 리 |
①피부를 따뜻하게 하고, 방부 작용이 있다. ②중추 신경 계통을 흥분시키는데, 다량을 사용하면 대뇌 피질과 뇌간에 작용하여 경련발작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일어난다. ③강심 작용과 호흡 흥분 및 혈압 상승 효과를 가져온다. ④간장에 해독 작용이 신속하고 점막과 피하 근육의 흡수를 촉진시킨다. |
|
임상보고 |
장뇌를 ①피부에 바르면 진통,지양 작용이 있다. ②복용 후 구풍작용과 경미한 거담작용이 있었다. |
|
기타주의사항 |
1회 0.3~0.5g을 복용하는데, 0.5~1g 이상을 복용하면 중독 증상을 보인다. |
|
분석된 함유성분 |
Isoboldine; (S)-form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