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Rubus parvifolius L. for. parvifolius |
|
|
|
추천국명 |
멍석딸기(Meong-seok-ttal-gi) |
|
한약재명 |
호전표(호田표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Rubus parvifolius L. for. parvifolius; Rubus triphyllus Thunb.; Rubus parvifolius var. triphyllus (Thunb.) Nakai; Rubus chinensis Thunb.; Rubus taquetii H.Lev.; Rubus triphyllus var. taquetii (H.Lev.) Nakai; Rubus triphyllus var. subconcolor Cardot; Rubus triphyllus var. subconcolor (Cardot) Makino & Nemoto; Rubus parvifolius var. taquetii Nemoto; 덤풀딸기(Deom-pul-ttal-gi); 멍두딸(Meong-du-ttal); 멍딸기(Meong-ttal-gi); 멍석딸(Meong-seok-ttal); 번둥딸나무(Beon-dung-ttal-la-mu); 사수딸기(Sa-su-ttal-gi); 수리딸나무(Su-ri-ttal-la-mu); 제주멍석(Je-ju-meong-seok); |
|
CCID 등재명 |
RUBUS PARVIFOLIUS(); RUBUS PARVIFOLIUS FRUIT EXTRACT(멍석딸기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Rosaceae(장미과); |
|
속(GENUS)명 |
Rubus(); |
|
종(SPECIES)명 |
parvifolius Forma parvifolius |
|
사용부위 |
지상부(BUD); / 뿌리(ROOT);
|
|
꽃(FLOWER)색상 |
빨강(Red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장미과의 낙엽 덩굴나무로 지상부를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활혈거어약(活血祛瘀藥); |
|
성 미 |
감산(甘酸),평(平) |
|
해 설 |
①산어 작용이 있어서 타박상을 제거하고, ②토혈, 외상 출혈에 내복 및 외용한다. ③악창, 옴, 버짐에도 쓰인다. |
|
기타주의사항 |
뿌리는 감기로 인한 고열, 인후염에 쓰이며, 비뇨기결석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면 유효한 반응을 보인다는 임상보고가 있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