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Rhus javanica L. |
|
|
|
추천국명 |
붉나무(Buk-na-mu) |
|
한약재명 |
염부목(鹽膚木),오배자(五倍子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Rhus javanica L.; Rhus chinensis Mill.; Rhus semialata Murray; Rhus semialata var. osbeckii DC.; Rhus osbeckii Decne. ex Steud.; Toxicodendron semialatum (Murray) Kuntze; Rhus javanica var. intermedia Nakai; Rhus javanica var. chinensis (Mill.) T.Yamaz.; 굴나무(Gul-la-mu); 불나무(Bul-la-mu); 뿔나무(Ppul-la-mu); 오배자나무(O-bae-ja-na-mu); |
|
CCID 등재명 |
RHUS SEMIALATA(); RHUS SEMIALATA EXTRACT(붉나무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Anacardiaceae(옻나무과); |
|
속(GENUS)명 |
Rhus(); |
|
종(SPECIES)명 |
javanica Species |
|
사용부위 |
잎(LEAF); / 뿌리(ROOT);
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옻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로 뿌리와 잎을 약으로 쓴다. 나무에 기생하는 벌레집을 오배자라고 한다. |
|
약제분류 |
청열약(淸熱藥); |
|
성 미 |
염부목:산함(酸鹹),한(寒), 오배자:산(酸),평(平) |
|
해 설 |
뿌리는 ①감기로 인한 열을 내리고, ②장염, ③치질 출혈에 효력이 있다. ④잎은 제독작용이 있으므로 뱀에 물린 데 붙인다. 오배자는 ①수렴 작용이 강하여 폐 기능 허약으로 인한 만성해수를 그치게 하고, 잘 치유되지 않는 이질, 탈항, 자한(自汗), 도한(盜汗), 유정(遺精)을 치료한다. ②지혈 작용은 대변 출혈, 코피, 자궁 출혈을 그치게 하고, ③외상 출혈에도 유효하다. ④종기, 피부염, 가려움증에도 효력을 나타낸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flavonoid, phenol성 물질, tannin, 수지류 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. 오배자에는 다량의 gallotannin, 수지, 지방,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. |
|
약 리 |
오배자의 ①gallotannin 성분은 수렴 작용이 있어서 피부 점막에 접촉되면 조직 단백이 응고되어 수렴 효과를 나타낸다. ②이질균, 녹농균 등에 항미생물 작용이 있고, ③항생육 작용이 있어서 정자를 감소시킨다. ④간 기능 보호 작용과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. |
|
임상보고 |
①소화기도 출혈에 이 약물 15g을 가자(訶子)와 배합하여 복용하자 유효한 반응을 보였고, ②궤양성결장염, ③방사성직장염, ④유정, ⑤폐결핵으로 인한 도한, ⑥각혈, ⑦이질, ⑧자한, ⑨당뇨병, ⑩말기 분문암 및 식도암, ⑪치질, ⑫화상, ⑬조루, ⑭야제(夜啼), ⑮소아설사, 가을철에 유행하는 장염 등에 치료 효과를 보였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