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약성이 침강하므로 하초습엽(下焦濕熱)을 제거한다. ②습열로 인한 황달, 이질, 대하 및 다리와 무릎이 붓고 아프며 무겁고 마비되는 증상에 유효하다. ③창양(瘡瘍), 종기, 습진, 화상 및 눈이 충혈되고 통증을 호소하는 질환에도 유효하다. ④열로 인해 소변의 양이 적고 잘 나오지 않으 때 편축, 목통을 배합해서 쓰며, ⑤음허발열로 뼛골이 쑤시면서 식은 땀이 나고 유정이 있는 증상에 활용된다.
주요성분해설
berberine 1.6-4%, jatrorrhizine, magnoflorine, phellodendrine, candicine 등이 알려져 있다.
약 리
①항균작용은 황련보다 조금 약하나 피부진균 억제작용은 더 강하며, B형간염 치료 효과를 보인다. ②혈압 강하 활성 작용이 현저하며, ③장관수축 작용을 증강시키고, 일정한 근육 이완 작용을 나타매며, 혈당 강하 작용 및 생쥐의 항체 생성을 촉진시킨다. ④거담 작용과 일정한 진해 작용을 보인다.
임상보고
①만성세균성이질에 현저한 반응을 보였고, ②유행성뇌척수막염에 양호한 효과를 보였다. ③화상에 유백피를 분쇄하여 2:1의 비율로 배합하여 80% 알코올에 48시간 담갔다가 여과한 액을 환부에 발라서 효과를 얻었다. ④열매에서 뽑아 낸 정유 성분은 만성기관지염으로 인한 진해, 거담, 천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탁월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