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Ligustrum japonicum Thunb. var. japonicum |
|
|
|
추천국명 |
광나무(Gwang-na-mu) |
|
한약재명 |
여정실(女貞實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Ligustrum japonicum Thunb. var. japonicum; Ligustrum japonicum var. ovalifolium Blume; Ligustrum kellerianum Vis.; Ligustrum japonicum var. pubescens Koidz.; Ligustrum micranthum var. pubescens Koidz.; Ligustrum rotundifolium var. pubescens (Koidz.) Hatus.; Ligustrum japonicum for. pubescens (Koidz.) Murata; |
|
CCID 등재명 |
LIGUSTRUM JAPONICUM(); LIGUSTRUM JAPONICUM FRUIT EXTRACT(광나무열매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Oleaceae(물푸레나무과); |
|
속(GENUS)명 |
Ligustrum(); |
|
종(SPECIES)명 |
japonicum Variety japonicum |
|
사용부위 |
열매(FRUIT);
|
|
꽃(FLOWER)색상 |
하양(White) 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물푸레나무과의 늘푸른큰키나무로 성숙한 열매를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보익약(補益藥); |
|
성 미 |
감고(甘苦),량(凉) |
|
해 설 |
①간신음허로 인한 어지럼증 및 허리와 무릎의 연약 증상을 치료하고,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는 것을 막는다. ②음허내열로 조열이 생기고 마음이 번잡할 때 숙지황, 지골피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. ③간신음허로 정혈이 부족해서 시력이 약화되거나 눈이 침침할 때 숙지황, 구기자와 같이 사용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oleanolic acid, 포도당, palmitic acid, ursol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. 종자에서도 지방유가 확인되었다. |
|
약 리 |
①강심,이뇨 작용과 간 기능 보호 작용이 나타나고, ②건강한 사람의 림프 세포의 모세포 전화 작용을 촉진시킨다. ③황색포도상구균, 이질간균, 인플루엔자균, 녹농균, 대장균을 억제하는 작용을 보이며, ④항암 효과에도 활성 반응을 보인다. |
|
임상보고 |
①백혈구감소증에 약침 제제로 효력을 얻었고, ②만성간염에도 유효율을 높였다. ③고지혈증 환자가 1개월간 복용하여 총 콜레스테롤치를 70.6% 내렸다. ④시신경염에 청상자, 결명자와 같이 사용하자 효력이 있었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