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Ailanthus altissima (Mill.) Swingle for. altissima |
|
|
|
추천국명 |
가죽나무(Ga-jung-na-mu) |
|
한약재명 |
저백피(樗白皮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Ailanthus altissima (Mill.) Swingle for. altissima; Ailanthus glandulosa Desf.; Ailanthus cacoendron Schinz & Thell.; 가중나무(Ga-jung-na-mu); 개죽나무(Gae-jung-na-mu); 까중나무(Kka-jung-na-mu); |
|
CCID 등재명 |
AILANTHUS ALTISSIMA(); AILANTHUS ALTISSIMA BARK EXTRACT(저백피추출물); |
|
과(FAMILY)명 |
Simaroubaceae(소태나무과); |
|
속(GENUS)명 |
Ailanthus(); |
|
종(SPECIES)명 |
altissima Forma altissima |
|
사용부위 |
나무껍질(BARK); / 뿌리(ROOT);
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소태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로 뿌리 껍질을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청열약(淸熱藥); |
|
성 미 |
고삽(苦澁),한(寒) |
|
해 설 |
①청열,조습 작용이 있으므로 대장에 습열이 있어 발생한 이질과 피가 섞인 변을 볼 때 및 오래도록 낫지 않는 이질설사 등에 양호한 반응을 보인다. ②수렴성의 지혈 반응으로 자궁 출혈과 습열로 인한 대하에 쓰이며, ③살충작용이 있어서 회충을 제거하고, 피부의 창선(瘡癬)을 치료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저백피에는 mersocin, 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. 나무 껍질에는 ailanthone, amarolide, quassin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졌다. |
|
임상보고 |
①급성세균성이질에 달인 물을 하루 2회 복용하자 복통, 후중(後重), 변혈이 2-3일 내에 감소하였다. ②아메바성이질에 농축 액을 먹으면 유효한 반응을 보인다. ③빈혈에도 녹두 싹, 무즙 등과 같이 복용하여 효력을 얻었고, ④위,십이지장 궤양에 나무 껍질을 가루 내어 알약이나 가루약으로 만들어 1일 3회 8-12g씩 복용하여 유효한 반응을 얻었다. ⑤자궁경부암에도 달인 물을 복용하거나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여 양호한 반응을 얻었다. |
|
분석된 함유성분 |
1-Carbomethoxy-4-methoxy-beta-carboline 1-Methoxycarbonyl-beta-carboline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