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▣ CNPD 레코드 등록정보 |
|
|
학 명 |
Zingiber officinale Roscoe |
|
|
|
추천국명 |
생강(Saeng-gang) |
|
한약재명 |
건강(乾薑),생강(生薑) |
|
다른이름 (Other Names) |
Zingiber officinale Roscoe; 새양(Sae-yang); |
|
CCID 등재명 |
ZINGIBER OFFICINALE(); ZINGIBER OFFICINALE (GINGER) ROOT EXTRACT(생강추출물,건강틴트); ZINGIBER OFFICINALE (GINGER) ROOT OIL(생강오일); ZINGIBER OFFICINALE (GINGER) ROOT POWDER(생강가루); ZINGIBER OFFICINALE (GINGER) WATER(생강수); |
|
과(FAMILY)명 |
Zingiberaceae(생강과); |
|
속(GENUS)명 |
Zingiber(); |
|
종(SPECIES)명 |
officinale Species |
|
사용부위 |
뿌리(ROOT);
|
|
천연물설명 (Descriptions) |
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를 말린 것(건강), 날 것(생강)을 약으로 쓴다. |
|
약제분류 |
온리약(溫裏藥); |
|
성 미 |
건강:신(辛),열(熱), 생강:신(辛),미온(微溫) |
|
해 설 |
건강은 ①심복 부위에 냉기가 돌면서 은은하게 통증이 있고 배가 차고 소화가 안 되고 구토, 설사를 하는 증상에 사용하며, ②맥박이 미약하고 팔다리가 차며 허리까지 저리고 아프며 때로 마비감을 느낄 때, ③찬 바람을 쐬거나 찬 음식을 먹으면 해수가 생기며 호흡이 가쁠 때, ④하복부가 차고 냉기가 들면서 이질 증상을 나타낼 때 적용된다. 생강은 ①외감성으로 인한 오한, 열, 두통 및 코막힘증에 흑설탕을 넣어 복용하는데, 그 작용이 미약하다. ②위를 따뜻하게 하므로 위가 차서 소화가 안 되고 구토를 일으키는 증상에 쓰인다. ③또한 풍한이 폐에 침범하여 해수 및 가래를 배출하는 증상에 유효하며, ④생선이나 게를 먹고 난 후 중독으로 구토 및 복통설사를 일으킬 때 소엽과 같이 사용한다. |
|
주요성분해설 |
건강에는 zingiberene, phellandrene, camphene, shogaol 등이 함유되어 있다. 생강에는 휘발성 정유 0.25~3%가 함유되어 있으며, 주성분으로 zingiberol, zingiberene, phellandrene, camphene, citral, linalol 등이 확인되었다. 매운맛은 shogaol, zingerol, zingiberone, zingerone 의 혼합물이다. |
|
약 리 |
①위액 분비 촉진과 장관의 연동 작용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를 돕고 구토를 가라앉히는 효과를 나타낸다. ②혈관 운동 중추, 호흡 중추와 심장 흥분 작용이 있어서 혈압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. ③항염증 작용 및 진통 작용이 있다. ④인플루엔자균, 콜레라균, 개선균 등에 일정한 억균 작용을 나타낸다. |
|
임상보고 |
①풍습성으로 오는 요통 및 만성요통에 약침제제로 효력을 보였고, ②풍습성 또는 유풍습성관절염에 약침 제제의 효과가 뛰어났다. ③이질, ④중증의 구토, ⑤차멀미, ⑥백전풍, ⑦불이나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에 신통력을 보였다. |
|
기타주의사항 |
건강을 까맣게 태운 것을 건강탄이라고 하는데, 정유 성분은 거의 없고 지혈 반응이 신속하게 나타난다. 땀이 많고 혈압이 높거나 염증 질환의 초기에는 피하는 것이 좋다. 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