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감기로 인한 두통과 인후염, 편도선염에 효력을 나타내고, ②황달에 유효하며, ③타박상, ④종기 초기에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하거나 즙액을 붙인다.
주요성분해설
tannin, 정유, saponin, flavonoid, chlorogenic acid, caffeic acid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.
약 리
①포도상구균, 폐렴균, 녹농균, 이질균에 억제작용이 있으며, ②토끼의 실험성기관지염에 거담(祛痰),천식(喘息)의 감소현상을 나타낸다. ③이뇨작용이 나타나고, ④급성출혈성신우신염에 지혈(止血)반응을 보인다.
임상보고
①편도선염, 인후염, 기관지염, 유선염, 림프절염, 종기, 외과 수술 후 감염 예방 및 급성염증성 질환에 약침 제제로 효력을 얻었고, ②만성기관지염에는 하루에 40-80g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하였다. ③외상 출혈에는 가로로 만들어 환부에 뿌렸고, ④손발의 건선피부염에 약물 달인 물로 5-6회 환부를 세척하여 효력을 얻었다.